Ko:Key:highway

highway
설명
도로 태그는 모든 종류의 도로나 길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중요 태그입니다.  
그룹: 도로
해당 요소의 사용
문서화된 값: 15
함축하는 의미
유용한 조합
상태:사실상 표준

사용법

주요 문서: Highways

highway=* 태그는 모든 종류의 도로나 거리, 경로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요 키 입니다. 키의 값은 도로의 중요성을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가장 중요한 도로 (motorway)부터 가장 중요하지 않은 도로(service)를 아래 표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본 태그를 다른 나라의 도로망에서 사용하는 방법은 Highway:International equivalence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예시

도로를 나타내는 예시를 참고하세요.

종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값을 보려면 아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도로


요소 설명 렌더링 사진

도로

아래는 도로망을 위한 주요 태그들입니다. 주요 도로 순으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highway motorway 아무 차량이나 들어갈 수 없고, 중앙 분리대가 있으며, 비상용 갓길이 있는 2차로 이상의 도로입니다. 프리웨이나 아우토반 등이 이에 속합니다.
highway trunk 국가 교통체계에서 motorways 다음으로 중요한 도로입니다(중앙 분리대가 필수적이지 않은 도로입니다).
highway primary 국가 교통체계에서 trunk 다음으로 중요한 도로입니다(주로 대형 시내를 연결합니다).
highway secondary 국가 교통체계에서 primary 다음으로 중요한 도로입니다(주로 시내를 연결합니다).
highway tertiary 국가 교통체계에서 secondary 다음으로 중요한 도로입니다(주로 작은 마을과 작은 시내를 연결합니다).
highway unclassified 국가 교통체계에서 가장 중요하지 않은 도로입니다. tertiary 보다는 덜 중요한 도로이지만, 소유지로의 출입과는 다른 목적을 갖고 있는 도로입니다. 일반적으로 마을과 촌락을 연결합니다. ('unclassified'는 영국에서 옛날부터 사용하던 명칭이며, 분류가 알려지지 않았다는 뜻이 아닙니다. (분류를 알 수 없는 도로는 highway=road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highway residential 마을(주거지) 사이를 연결하는 기능은 없으며 주택 접근 시 사용하는 도로입니다. 보동 주택과 같이 그립니다.

연결 도로

highway motorway_link motorway끼리 또는 그 이하의 도로를 잇는 연결 도로(램프)입니다. 일반적으로 motorway와 동일한 통행 제한이 적용됩니다.
highway trunk_link trunk끼리 또는 그 이하의 도로를 잇는 연결 도로입니다.
highway primary_link primary끼리 또는 그 이하의 도로를 잇는 연결 도로입니다.
highway secondary_link secondary끼리 또는 그 이하의 도로를 잇는 연결 도로입니다.
highway tertiary_link tertiary끼리 또는 그 이하의 도로를 잇는 연결 도로입니다.

특수한 도로

highway living_street 생활 도로(living street) 혹은 주택가 도로. 법적으로 자동차보다 보행자가 우선되고, 속도가 매우 낮게 억제되어 어린이가 도로에서 놀 수 있는 주거 지역의 도로입니다.
highway service 산업단지, 야영장, 업무 단지, 주차장, 골목길 등의 진입로 또는 안 길. service=*와 함께 사용하여 사용 유형을 표시하고 access=*와 함께 사용하여 누가 어떤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 표시할 수 있습니다.
highway pedestrian 보행자만 이용할 수 있는 도로. 상업 및 일부 주거 지역에서 주로/우선적으로 보행자 전용으로 사용되는 도로로, 하루 중 매우 제한된 시간 동안만 자동차의 접근이 허용될 수 있습니다. 광장이나 플라자를 만들고 싶다면 닫힌 선을 그리고 highway=pedestrianarea=yes 태그를 같이 붙이십시오.
highway track '농업 및 임업용'으로 사용되는 도로. 도로의 품질(포장 정도)을 나타내려면 tracktype=* 태그를 사용하세요. 참고: 보통 농로나 임도는 비포장 도로인 경우가 많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태그만으로 도로의 포장 여부를 알 수는 없습니다. 일반적인 용도의 도로를 나타내려면 도로 단락을 참고하세요.
highway bus_guideway 가이드웨이 버스(철도처럼 노선 버스만 이용할 수 있는 도로를 별도로 깔아서 교통 체증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대중교통 체계)용 도로. 일반적인 버스 전용차로에는 access=no + psv=yes 태그를 대신 붙이세요!
highway escape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을 때 자동차를 멈출 수 있도록 고안한 비상 탈출 도로. 한국에서는 대관령 등지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highway raceway (자동차) 레이싱 트랙.
highway road 유형을 알 수 없는 도로/거리 등. 이 태그는 오솔길부터 고속도로까지의 모든 도로를 아우를 수 있습니다. 이 태그는 도로의 정확한 유형을 알아내기 전까지만 임시로 사용해야 합니다. 도로의 정확한 유형을 알고 있다면 절대 이 태그를 사용하지 말고, 더 구체적인 값을 highway=* 에 집어넣으세요.

인도 등

highway footway 보행자만 통행할 수 있는 인도로 설계된 도로. 자전거도 통행할 수 있다면 bicycle=yes 태그를 덧붙여 주세요. 도로의 주 목적 및 설계 의도를 알 수 없다면 이 태그를 사용하지 마세요. 상업 지구나 주거 지역의 보행자 도로에는 highway=pedestrian 태그를 붙이고, 경운기 등이 다니는 농로에는 highway=track을 붙이세요.
highway bridleway 말이 다니는 길. highway=path + horse=designated와 의미가 같습니다.
highway steps 인도 한가운데에 설치된 계단입니다. 계단의 단 수를 나타내려면 step_count=*를 사용하세요.
highway path 구체적인 용도가 명시되지 않은 오솔길. 사람이 주로 이용하는 길에는 highway=footway 태그를, 자전거가 다니는 도로에는 highway=cycleway 태그를, 말과 사람이 다니는 길에는 highway=bridleway 태그를, 농로 등으로 사용하는 길에는 highway=track 태그를 붙여 주세요.

차도 옆에 붙어 있는 인도(인도 문서 참조)

sidewalk both / left / right / no 도로에 인도가 딸려 있는지, 있다면 양쪽에 다 있는지, 아니면 한 쪽에만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자전거 도로를 별개의 선으로 나타내기(자전거 문서 참조)

highway cycleway 자전거 전용도로를 나타냅니다. 기본 접근 제한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만 foot=* 태그를 덧붙이세요.

자전거 도로를 차도와 함께 나타내기(자전거 문서 참조)

cycleway lane 자전거 도로가 차도의 일부분(차로)을 차지한다는 사실을 나타냅니다.
cycleway opposite oneway=yes(일방통행로) 태그가 붙은 선에 사용하며, 일방통행이 적용되는 차도와 달리 자전거 도로에서는 양 방향으로 통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나타냅니다. oneway:bicycle=no 태그와 함께 사용하세요.
cycleway opposite_lane oneway=yes(일방통행로) 태그가 붙은 선에 사용하며, 차도의 방향과 자전거 도로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경우에 사용합니다. oneway:bicycle=no 태그와 함께 사용하세요.
cycleway track 차도와 자전거 도로가 같은 노면을 공유하되, 서로 다른 포장재를 깔거나 봉(볼라드), 도로변 주차장, 연석 등으로 차도와 분리한 자전거 도로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참고: 이 태그를 사용하는 대신 차도 옆에 별개의 선을 그린 후 highway=cycleway 태그를 붙일 수도 있습니다.
cycleway opposite_track oneway=yes(일방통행로) 태그가 붙은 선에 사용하며, 차도의 방향과 자전거 도로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경우에 사용합니다. oneway:bicycle=no 태그와 함께 사용하세요.
cycleway share_busway 버스 전용차로로 자전거가 통행할 수 있을 때 사용하는 태그입니다.
cycleway opposite_share_busway 버스 전용차로로 자전거가 통행할 수 있는 일방통행로(oneway=yes)에 사용하며, 버스 전용차로의 방향과 자전거 도로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경우에 사용합니다. oneway:bicycle=no 태그와 함께 사용하세요.
cycleway shared_lane 자동차와 자전거가 같은 차로를 이용하라고 명시적으로 나와 있는 경우에 사용하는 태그입니다.
busway lane 도로 양쪽에 버스 전용차로가 있다는 사실을 나타냅니다.

수명

highway proposed 계획 단계의 도로입니다. 도로의 종류(고속도로, 주거 도로, ...)는 proposed=* 태그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highway construction 공사 중인 도로입니다. 도로의 종류(고속도로, 주거 도로, ...)는 construction=* 태그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도로의 종류에 따라 색이 달라짐

속성

abutters commercial/ industrial/ mixed/ residential/ retail etc. 자세한 내용은 Ko:Key:abutters를 참조하세요.
bicycle_road yes 자전거 전용도로. 주거 도로가 자전거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면 거주자에 한해 자동차도 저속으로 통행할 수 있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driving_side left/ right 차량이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분(도로 왼쪽/오른쪽)을 나타냅니다(일반적인 통행 규칙과 다른 경우에만 사용).)
ford yes 강이나 하천을 가로지르는 도로에 사용합니다.
ice_road yes 얼어붙은 저수지 위로 놓은 도로를 나타냅니다. 여름에는 존재할 수 없는 도로입니다.
incline 숫자 %/° 도로의 경사를 퍼센트("5%")나 각도("20°")로 나타냅니다. 양수 값은 선 방향으로 도로가 오르막길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음수 값은 내리막길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junction roundabout oneway=yes(일방통행)의 의미를 함축하며, 통행 방향은 선 방향으로 결정됩니다. highway=*가 붙은 선에 사용하세요.
lanes number 버스, 승용차, 자전거를 비롯한 모든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차로의 수를 나타냅니다.
lit yes/no 도로에 조명(가로등 등)이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motorroad yes/no 고속도로는 아니지만 고속도로와 유사한 통행 규제가 적용되는 도로(=자동차 전용도로)를 나타냅니다.
mountain_pass yes 언덕의 가장 높은 지점을 나타냅니다.
mtb:scale 0-6 MTB 노선의 분류(경사도)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태그입니다. highway=path(오솔길)과 highway=track(농로/임도)에 사용합니다.
mtb:scale:uphill 0-5 MTB 노선의 분류 기준 중 오르막길 경사도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태그입니다.
mtb:scale:imba 0-4 IMBA 노선 난이도 평가 체계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태그입니다. 인공 장애물이 있는 MTB 노선에 사용합니다.
mtb:description Text MTB 노선의 정보를 사람이 알아볼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낼 때 사용하는 태그입니다. highway=path(오솔길)과 highway=track(농로/임도)에 사용합니다.
overtaking yes/ no/ caution/ both/ forward/ backward 과적이 법적으로 허용/금지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태그입니다. 방향별로 적용되는 규제가 다르다면 overtaking:forward=yes/no/caution(선 방향)과 overtaking:backward=yes/no/caution(선 반대 방향) 태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arking:condition free/ ticket/ disc/ residents/ customers/ private 주차 가능 조건(시간대)를 나타내는 태그입니다. 자세한 정보는 parking:condition=* 문서를 참고하세요.
parking:lane parallel/ diagonal/ perpendicular/ marked/ no_parking/ no_stopping/ fire_lane. 주차 공간을 나타내는 태그입니다. 자세한 정보는 parking:lane=* 문서를 참고하세요.
passing_places yes 좁은 길에서 두 차량이 교행할 수 있는 공간을 나타내는 태그입니다.
sac_scale hiking / mountain_hiking / demanding_mountain_hiking / alpine_hiking / demanding_alpine_hiking / difficult_alpine_hiking 하이킹 노선의 분류 체계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태그입니다. highway=path(오솔길)과 highway=footway(보도)에 사용합니다.
service alley / driveway / parking_aisle 등등 자세한 정보는 Ko:Key:service 문서를 참조하세요.
surface paved / unpaved / asphalt / concrete / paving_stones / sett / cobblestone / metal / wood / compacted / fine_gravel / gravel / pebblestone / grass_paver / grass / dirt / earth / mud / sand / ground 자세한 정보는 Ko:Key:surface 문서를 참조하세요.
tactile_paving yes / no 도로에 시각 장애인을 위한 촉각 포장이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표준 지도에서 렌더링되지 않습니다.
tracktype grade1/ grade2/ grade3/ grade4/ grade5 노면의 질을 나타내는 태그입니다. 자세한 정보는 Ko:Key:tracktype 문서를 참고하세요.
traffic_calming yes / bump / hump / cushion / table 등등 자세한 내용은 Ko:Key:traffic calming 문서를 참조하세요.
trail_visibility excellent / good / intermediate / bad / horrible / no 하이킹 노선의 가시성을 나타내기 위한 태그입니다. highway=path(오솔길), highway=footway(보도), highway=cycleway(자전거 도로), highway=bridleway(승마로)에 사용합니다.
winter_road yes 겨울에만 이용할 수 있고 여름에는 이용하지 못하는 도로를 나타냅니다.

기타 도로 지물

highway bus_stop 작은 버스 정류장. 버스가 정차하는 지점에 public_transport=stop_position 태그를 붙이고, 승객이 기다리는 장소에 public_transport=platform 태그를 붙일 수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public_transport=* 문서를 참고하세요.
highway crossing 횡단보도. 사람이 도로를 건널 때 사용하는 부분입니다.
highway elevator 엘리베이터.
highway emergency_access_point 등산로나 기타 오지에 설치된, 고유한 일련번호가 적인 표지판. 길을 잃었거나 문제가 생겼을 때 표지판의 일련번호를 불러 주면 응급 요원들이 현재 위치를 찾을 수 있습니다. ref='일련번호' 태그와 함께 사용하세요.
highway give_way 양보 표지판.
emergency phone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전화기. ref='일련번호' 태그와 함께 사용하세요.
highway mini_roundabout 회전교차로와 비슷하지만, 교차로 가운데에 페인트로 그려진 원이 있거나 가로지를 수 있는(순회 가능) 공간이 있습니다. 교차로 가운데에 화단 등으로 이루어진 섬이 있다면, 이 태그 대신 junction=roundabout 태그를 사용하세요. 기본값은 반시계 방향(direction=anticlockwise)입니다. 시계 방향을 나타내고 싶으시다면 direction=clockwise 태그를 추가하세요.
highway motorway_junction 고속도로의 나들목이나 분기점을 나타냅니다. 나들목의 고유 번호(ref=*)를 반드시 명시해야 합니다.
highway passing_place 좁은 길에서 두 차량이 교행할 수 있는 공간을 나타내는 태그입니다.
highway rest_area 운전자가 잠시 쉬었다 갈 수 있는 장소(졸음쉼터, 간이 휴게소 등)입니다. 주유는 불가능합니다.
highway speed_camera 고정된 과속 단속 카메라입니다.
highway street_lamp 도로변에 설치된 가로등. 특정 시간대에 켜집니다.
highway services 음식 등을 취급하는 휴게소입니다. 주로 고속도로에 있습니다.
highway stop 정지 표지판.
highway traffic_signals 신호등.
highway turning_circle 도로가 끝나는 지점의 둥근 부분. 영어(또는 프랑스어)에서는 cul de sac이라고도 합니다.
highway 사용자 지정 자주 사용되는 값Taginfo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전제

오직 highway=motorway/motorway_link만이 품질의 의미를 내포합니다. 다른 도로 종류나 highway=trunk부터 highway=tertiary 및 highway=residential=residential/service까지 혹은 highway=path/footway/cycleway/track에는 도로 품질의 의미를 포함하지 마세요.

주요 도로망을 형성하는 기반시설 도로가 열악한 공간, 지역 내 가장 중요한 도로는 고품질의 넓은 아스팔트 도로 혹은 다른 지역의 highway=service보다 나쁜 저품질의 좁은 지대인지 아닌지와는 관계 없이 highway=trunk로 나타내도록 합니다. 아프리카의 일부 지방도는 비포장입니다.

도로의 품질을 묘사하는 surface나 tracktype, 다른 꼬리표가 없는 도로는 고속도로 꼬리표의 값에서 이 정보의 추정을 시도해야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모든 지역에 대해 조율이 필요하다는 것을 참고하세요. 대표적인 highway=primary가 전 세계에 걸친 다양한 장소 내에서는 대폭 다를지도 모릅니다.

도로의 품질을 묘사하는 surface와 같은 꼬리표는 적극적인 추천으로 추가하여 사용합니다. 특정 한 지역 내의 모든 highway=tertiary가 포장이고 highway=track이 비포장이라는 것은 명백할지도 모르나, 전 세계 모두가 동일할 것이라 전제하지는 마세요.

같이 보기

This article is issued from Openstreetmap. The text is 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 Attribution - Sharealike. Additional terms may apply for the media fi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