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ag:highway=trunk

highway=trunk
설명
고속도로가 아닌 주요 고속화 도로  
OSM Carto에서 렌더링
그룹: 도로
해당 요소의 사용
함축하는 의미
유용한 조합
같이 보기
상태:사실상 표준

highway=trunk는 고속도로(motorway)가 아닌 다른 주요한 고속화된 도로를 나타낼 때 씁니다. 나라마다 효율이나 중요도 가운데 하나가 trunk의 정의 기준이 됩니다. 다른 나라의 도로 분류에 대한 안내는 #International equivalenceHighway:International equivalence를 보십시오.

한국(남한;South Korea)의 경우

고속도로와 비슷하게 차들이 멈추지 않고 빠르게 달릴 수 있게 만들어 놓은 도로입니다. 한국에서는 보통 '고속화도로'(도시고속도로 등)에 이 태그를 씁니다. 보통 입체교차로, 중앙분리대 등 고속도로에 준하는 특징이 있고 대부분은 자동차전용도로이지만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신호등과 평면교차로, 횡단보도가 있는 도로에는 사용하지 않고 1차 도로 같은 다른 주요 도로 태그를 사용해 주세요. 한국에서는 동부간선도로, 강변북로, 올림픽대로, 내부순환로, 북부간선도로, 서부간선도로, 분당-수서 도시고속화도로, 성남이천로가 해당합니다. 제한속도는 대부분 80-90 km/h입니다.

그리기

고속도로와 비슷하게 이 도로는 구조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oneway=ye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도로의 이름을 나타내고 싶을 때는 name=*을 사용합니다.

이외에도 다음와 같은 태그들이 쓰입니다.

  • maxspeed=* 도로의 최고 속도 제한을 나타낼 때 쓰입니다.
  • minspeed=* 도로의 최저 속도 제한을 나타낼 때 쓰입니다.
  • ref=* 도로의 번호를 나타낼 때 쓰입니다.

구조물

가끔 다리나 터널과 같은 구조물이 존재할 때가 있습니다. 다리를 나타내고 싶은 경우 bridge=yes를 사용합니다. 터널은 tunnel=yes을 사용합니다.

함께 보기

This article is issued from Openstreetmap. The text is 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 Attribution - Sharealike. Additional terms may apply for the media files.